과거의 청년들은 ‘인생이란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같은 질문을 붙잡고 밤을 지새웠다. 그 질문은 방향을 잃은 시대 속에서 인간의 존재를 붙드는 끈이었다. 그러나 지금의 청년들은 다르다. 그들은 더 이상 존재의 의미를 묻지 않는다. 대신 묻는다.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덜 불안하게 살 수 있을까.” 세상은 질문의 깊이를 바꾸어 놓았다. 철학의 자리에는 생존이 들어섰고, 사색의 시간은 경쟁으로 대체되었다.
그런데 이제 성공은 ‘무엇을 가졌는가’로 정의되는 것 같다. 돈, 스펙, 인맥, 그리고 더 많은 팔로워. 인생의 항아리는 끝없이 채워야 하는 그릇이 되었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채울수록 허기가 커진다는 사실이다. 사람들은 더 많이 가지는데도 더 불안해한다. 결국 인생의 본질은 ‘채움’이 아니라 ‘선택적 비움’에 있다. 무엇을 가지느냐보다 무엇을 포기하느냐가 그 사람의 품격을 만든다. 이 간단한 진리를 잊은 사회가 지금의 세상이다.
인생을 우연의 연속이라 말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우연만으로 설명하기엔 삶은 너무 치밀하다. 그 안에는 분명한 서사가 있다. 다만 그것을 ‘읽어내는 능력’을 잃은 사람들이 많을 뿐이다. 방향을 잃은 청춘들은 지금 자신이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채 달리고 있다. 사회는 그들에게 쉼표를 허락하지 않는다. 잠시 멈추면 낙오자로 불리고, 질문을 던지면 비효율적이라 평가받는다. 그래서 그들은 묻기를 멈추고, 생각 대신 속도를 선택한다. 하지만 속도가 빠를수록 방향은 더 쉽게 잃는다.
청춘은 결국 ‘선택의 계절’이다. 이 시기에 내리는 선택은 단지 직업을 정하는 문제가 아니라, 인생의 질서를 결정짓는 일이다. 문제는 올바른 선택을 하려면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금의 시대는 그 기준을 빼앗았다. 비교와 효율이 기준이 되어버렸고, 타인의 눈이 나의 나침반이 되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성공의 문 앞에서 허무를 경험한다. 선택의 기준이 외부에 있을 때, 인생은 결국 타인의 기대를 따라 사는 복제품이 된다.
삶의 의미는 고난이 없는 곳에서 생기지 않는다. 오히려 상처와 실패 속에서 방향이 드러난다. 인생은 우리가 피하고 싶은 순간들 속에서 자신을 드러낸다. 자신이 왜 이 길을 걷는지를 아는 사람은 흔들리더라도 무너지지 않는다. 의미를 아는 사람은 고통 속에서도 길을 본다. 지금 청년들에게 필요한 건 확신이 아니라, 의미를 읽어내는 감각이다.
이제 그들을 향한 기성세대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단순한 조언이 아니다. 그들의 절망을 ‘요즘 애들’이라 말하며 가볍게 넘기지 않는 것, 그리고 그들 속의 가능성을 ‘어차피 안 될 거야’라는 냉소로 덮지 않는 것이다. 기성세대는 더 이상 앞에서 이끌 리더가 아니라, 옆에서 함께 걸어가야 할 세대다.
당신이 이미 걸어온 시간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 당신의 실수는 그들에게는 지도가 될 것이고, 당신의 실패는 그들의 안전벨트가 될 것이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지만, 세대를 잇는 진심은 여전히 느리게 자란다. 청년들은 완벽한 어른을 원하지 않는다. 단지 자신의 고민을 끝까지 들어줄 한 사람, 비난 대신 이해로 바라봐 줄 한 사람을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기성세대의 사명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다음 세대가 스스로의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 그리고 자신의 경험을 ‘답’이 아니라 ‘거울’로 건네는 일이다. 우리는 가르치는 시대에서 함께 배우는 시대로 이동하고 있다. 그 여정 속에서 청년과 기성세대는 서로의 거울이 되어, 각자의 얼굴을 비추며 함께 성장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