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포로는 일본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대도시이자, 선교의 가장 외로운 전선이다. 수많은 선교사들이 이곳에 발을 디뎠지만, 대부분 오래 머물지 못했다. 왜냐하면 이곳은 ‘선교의 겨울’이 길기 때문이다. 눈이 6개월을 덮는 도시처럼, 복음의 씨앗도 쉽게 움트지 않는다. 그래서 삿포로는 여전히 선교적으로 추운 지역이다. 복음의 불씨가 닿지 않는 도시가 아니라, 닿아도 쉽게 붙지 않는 도시이기 때문인 것 같다. 눈이 6개월 이상 덮이는 북방의 땅처럼, 이곳의 영혼은 천천히 움직이고, 변화는 느리며, 신앙은 쉽게 뿌리내리지 않는다.


일본의 기독교 인구는 전체의 1% 미만이다. 30년 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같다. 복음주의 신자는 약 0.3% 수준에 머문다. 홋카이도의 인구는 약 500만 명이지만, 그중 주일예배에 참석하는 기독교인은 2만 명이 되지 않는다. 삿포로에 정기적으로 모이는 성도는 1만 명 이하. 교회의 절반 이상이 30명 미만의 소형 교회이며, 목회자의 70%가 60세 이상이다.

이 숫자들은 단순한 통계가 아니다. 그것은 ‘정체’라는 이름의 현실이다. 일본은 지난 50년간 경제적 발전과 사회적 안정 속에서도 영적으로는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 종교는 개인의 내면으로 밀려나고, 교회는 사회 담론에서 사라졌다. 젊은 세대는 신앙에 무관심하며, 교회는 고령화로 인해 세대 단절의 위기를 맞고 있다.

삿포로의 한 선교사는 이렇게 말했다.

“이곳의 복음화는 마치 얼음 위에 새싹을 심는 일과 같습니다. 하지만 그 얼음 밑에서도, 하나님은 여전히 뿌리를 자라게 하십니다.”

일본의 문화는 신앙을 고백하기 어렵게 만든다. ‘조화(和)’를 중시하는 사회에서 종교적 차이는 불편한 주제가 된다. ‘다름’은 개인의 용기로 해석되지 않고, 관계의 위협으로 인식된다. 그래서 일본인에게 신앙은 삶의 중심이 아니라 주변부의 취향이 된다. “나는 무종교입니다.”라는 표현은 부정이 아니라 일종의 예의로 여겨진다.

홋카이도는 개척지의 자립정신이 강하다. 신에게 의존하기보다 스스로 해결하려는 삶의 태도가 깊이 뿌리내려 있다. 이런 문화 속에서 복음은 ‘도움의 언어’가 아니라 ‘간섭의 언어’로 오해받기도 한다. 실제로 한 일본인 신자는 이렇게 말했다.

“예수를 믿는 건 좋은 일일지 모르지만, 일본에서 그 말은 너무 큰 소리처럼 들립니다.”

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선교는 논리나 설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복음은 ‘보여지는 삶’으로만 이해된다. 교회의 설교보다 교인의 태도가, 전도의 말보다 일상의 성실함이 먼저 마음을 연다. 그러므로 삿포로의 복음은 말이 아니라 ‘관계’로, 논쟁이 아니라 ‘신뢰’로 자란다.

OMF 선교회는 일본을 “가장 헌신적인 선교사들이 가장 빨리 지치는 나라”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일본에서 사역하는 선교사의 평균 체류 기간은 5년 미만이다. 언어의 장벽, 관계의 거리,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많은 이들이 지쳐 나간다. 그러나 역사는 늘 그 ‘남은 자’를 통해 이어져 왔다.

1876년, 삿포로 농학교의 미국인 교수 윌리엄 S. 클라크는 학생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Boys, be ambitious for Christ.”

그 짧은 한 문장이 일본 교회사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의 제자들이 ‘삿포로 밴드’를 세우고, 일본 최초의 기독교 운동을 시작했다. 하나님은 언제나 적은 수를 통해 시대를 바꾸신다. 삿포로는 다시 그 말씀의 무게를 느끼게 하는 땅이다.

겨울은 생명을 죽이는 계절이 아니다. 단지 깊이 묻히게 하는 시간일 뿐이다. 삿포로의 선교는 그런 ‘하나님의 겨울학교’이다. 눈 덮인 땅속에서 씨앗은 보이지 않지만, 그 안에서 뿌리가 자라고 있다. 빠른 결실을 원한다면 이 도시는 실망을 줄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시간은 인간의 속도보다 깊다.

“눈은 덮지만, 생명을 막지 않는다.”

삿포로의 교회는 그 진리를 몸으로 배우는 곳이다. 사람들은 교회를 떠나도, 하나님은 교회를 포기하지 않으신다. 복음은 멈춘 것처럼 보일 뿐,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삿포로의 선교는 포기의 이야기가 아니다. 방법은 ‘속도’가 아니라 ‘깊이’에 있다.

우선, 삿포로의 복음은 ‘교회 밖’에서 피어난다. 일본 문화는 일상 속의 미(美)와 조화(和)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복음이 단절이나 대립의 언어로 들릴 때 마음을 닫는다. 그러나 복음은 문화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아름다움을 회복시키는 언어이다.

삿포로는 눈의 도시다. 이 도시의 사람들은 겨울의 고요함 속에서 사유하고, 눈의 균형과 절제 속에서 미를 발견한다. 일본인의 미의식은 단순히 장식적 취향이 아니라, ‘질서와 조화의 철학’이다. 이 점을 이해하지 못한 복음은 항상 ‘서양의 종교’로 남는다. 복음이 이 땅에 뿌리내리려면, 그 아름다움의 언어로 다시 번역되어야 한다. 예배의 음악이 지역 예술과 만날 때, 교회의 건축이 홋카이도의 자연과 어울릴 때, 복음은 낯선 교리가 아니라 익숙한 조화로 들린다.

예를 들어, 삿포로의 대표적 행사인 ‘눈 축제(Snow Festival)’에서 교회가 자원봉사나 예술적 참여로 시민과 연결될 때, 신앙은 종교가 아닌 공동체의 일부로 경험된다. 또한 일본의 차문화(茶道)는 ‘정화(靜化)’와 ‘존중(敬意)’의 정신을 담고 있다. 그 안에 이미 복음의 본질이 숨어 있다 — “서로를 존중하고, 함께 나누는 자리.” 따라서 교회는 일본 문화를 비판하기보다, 그 안에 깃든 ‘하나님의 흔적’을 발견해야 한다. 복음은 낯선 언어가 아니라, 인간의 아름다움을 완성시키는 언어이다. 그때 삿포로 사람들은 이렇게 고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삿포로의 교회가 자립하기 위해서는 ‘수입된 교회’에서 ‘토착된 교회’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는 현지 리더십의 세움이 있다. 일본 사회는 외부 권위를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한국인이나 서양 선교사가 아무리 헌신해도, 그들의 말은 “외부의 종교”라는 벽을 넘기 어렵다.

그러나 일본인 리더가 일본어로 설교하고, 일본적 사고로 복음을 해석할 때, 그 말은 내부의 언어가 된다. 이것은 단순히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의 언어의 문제다. 일본인은 직접적인 감정보다 암시적 표현을 중시하며, 논리보다 분위기를 통해 진심을 느낀다. 따라서 복음이 이들의 정서적 리듬 안에서 전달될 때 비로소 ‘이해’가 아닌 ‘공감’으로 변한다.

이렇게 겉으로 보기에, 삿포로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여전히 일하고 계신다. 이 땅의 겨울은 끝이 아니라, 기다림의 계절이다. 우리는 오늘 눈 속에 씨를 묻는다. 그것이 곧 순종이며, 희망이다.

“겨울의 신앙은 눈 아래에서 뿌리를 내린다. 눈은 덮을 뿐, 생명을 막지 못한다.”

삿포로의 부흥은 이 문장을 믿는 자들로부터 시작될 것이다. 봄은 늦게 오지만, 반드시 온다. 그리고 그 봄은, 겨울을 견딘 자들의 눈물 위에 피어나기 때문이다.